요즘은 Thymeleaf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 

(선택 가능)

Spring에서 Thymeleaf를 미는 중이다

장점으로는 natural templates로 html 내에 마크업을 깨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.

단점으로는 태그를 완전히 달아줘야함 (ex. <br> </br> 이렇게 마무리 태그 안달아주면 에러난다)

버전 3.0에서는 극복해서 그냥 하나만 달아도 가능

 

이번에는 Thymeleaf로 html 뷰 테스트를 해볼 것이다!

 

우선 기본 Controller 파일을 생성해주고, 코드를 작성한다.

hello라는 uri로 get mapping을 해준다.

 

그리고 templates 하위에 hello.html 파일을 생성한다.

그런 다음 application 실행을 해주고, localhost:8080/hello를 입력하면!

 

Controller에서 받은 data가 hello.html data로 넘겨받고 렌더링된 화면이 보인다!

스프링 부트의 Thymeleaf가 알아서 매핑을 해준다, good... (thymeleaf viewName 매핑)

 

렌더링과 관계없이 정적 페이지에서는 어떻게 설정하고 확인할까?

static > index.html 파일을 추가해준다.

그리고 다시 application 실행을 해주면..!

 

여기서 hello를 클릭해주면 

 

/hello로 바로 이동한다!!

 

**팁**

spring-boot-starterdevtools를 추가하면 매번 코드 수정하고 빌드해야할 필요없이

수정한 파일에 Build > Recompile file 눌러주면 그 부분만 적용돼서 바로 확인 가능!!

 

김영한 실전 스프링부트와 JPA 활용 1 강의 듣고 작성한 글

+ Recent posts